수요와 공급이란?
경제학 분야에서 수요와 공급은 구매자와 판매자의 관계를 나타냅니다. 시장에서 발생하는 가격과 시장에서 상품의 양을 결정하고 예상합니다. 소비자와 구매자에 대한 미시경제적 분석에서 이러한 수요와 공급의 모델이나 개념이 필수적이며, 거시경제적 분석에서도 이러한 모형을 가지고 총수요 및 총공급 모형에 사용합니다.
수요
수요란 경제주체가 실제로 구매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욕구와 제품을 구매하고 싶은 욕구를 이야기합니다. 보통 구매자들은 물건을 살 때 가격과 기호, 소득 수준, 다른 물건의 가격 등을 생각합니다.
물건을 구매할 때, 구매자들은 가격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합니다. 일반적으로 제품의 가격이 크게 오르면, 사람들은 전보다 덜 구매할 것이고, 제품의 가격이 떨어지면 더 많이 살려고 할 것입니다.
수요의 법칙이란 가격 외의 다른 요소들이 동일할 때, 시장 수요량과 물품의 가격은 역의 관계로 이루어지는 것입니다.
만약 소득이 증가하면 전과 똑같은 금액에서 더 많은 물품을 살 수 있기 때문에 수요가 변하게 됩니다. 이때 수요량이 증가했다고 하지 않고 수요가 변동되었다고 하는데, 이는 전과 똑같은 가격에서 더 많은 수요를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공급
공급이란 경제주체가 물품을 팔고자 하는 것을 말합니다. 공급 법칙은 공급량과 물품 가격 간에 정의 관계가 이루어지는 것을 말합니다.
물품 가격이 동일하더라도 생산기술이나 생산 요인의 가격이 바뀌게 되면 공급량도 바뀌게 됩니다. 보완된 생산기술 덕분에 이전에 사용하던 생산 요인을 가지고도 생산량이 증가하게 되면 똑같은 가격으로 더 많이 공급이 가능하게 됩니다
균형
시장 경제에서 균형을 이루게 되면(수요와 공급이 일치), 수요와 공급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가 일정하면, 그 상태를 벗어나지 않습니다.
수요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
상품의 가격뿐만 아니라 소비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들로는 인구의 크기, 대체재의 가격, 기호, 소득, 투기효과, 의존 효과, 과시 효과가 있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요소들이 수요에 영향을 주고 있지만 수요의 법칙은 그중 가격의 변동만을 고려한 관계입니다.
다음은 수요의 법칙에서 예외의 경우입니다.
1. 기펜재: 가격이 떨어지면 수요도 떨어지는 특수한 경우.
2. 위풍재: 부유함의 과시를 위한 상품으로 가격이 비쌀수록 수요도 증가.
3. 매점(가수요): 미래에 상품의 가격이 더 오를 것이라고 예측하여 상품을 구입.
수요와 수요량의 변화
수요 변화의 원인은 가격을 제외한 가격 변화, 기호 변화, 소득 변화이고, 수요량 변화의 원인은 상품의 가격입니다. 수요량 변화는 수요 곡선상에서 이동이고, 수요 변화는 곡선 자체가 이동되는 것입니다.
공급곡선 이동 원인
공급 곡선이 이동하는 이유는 크게 3가지가 있습니다.
먼저, 생산요인의 가격이 상승하는 것인데, 이는 생산요인의 가격이 오르면 생산비용 또한 오르게 되어 생산요인의 수요가 감소하게 됩니다. (이 때, 물품의 가격과 생산기술의 가격은 동일하다는 것으로 가정.) 이때에 공급 곡선은 왼쪽으로 움직이고, 생산비용이 감소하면 곡선은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두 번째로 생산 기술이 변화하는 것입니다. 기술 레벨이 동일하다는 전제로 공급 곡선을 그립니다. 그래서 기술 레벨이 바뀐다면 공급 곡선도 이동하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정부 정책의 영향을 받습니다. 최종적으로 공급 곡선이 이동하는 것은 생산 비용의 영향입니다. 그래서 정부의 보조금, 조세, 규제 등으로 인해 생산 비용이 영향을 받으면 공급 곡선도 이동하게 됩니다.
공급 법칙에서 예외인 경우는 다음 2가지입니다.
1. 노동공급: 임금이 일정 수준이 되면, 여가를 더 찾게 되어 공급곡선이 후방 굴절로 나타납니다.
2. 매석: 가격이 더 많이 인상될 것으로 예측된다면 더 비싼 값으로 팔기 위해 당장 물건을 팔지 않으려 합니다.
초과 공급
초과 공급은 균형 가격보다 시장 가격이 높을 때 일어나는 형상입니다. 판매자들은 목표한 판매 수량을 이루기 위해 가격을 인하해서라도 판매를 합니다. 이럴 경우 공급량은 감소되고 시장 가격은 하락하고, 수요량은 늘어나 균형가격으로 복구됩니다.
'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채권. 채권이란? 채권에 대하여 알아보자 (0) | 2023.02.20 |
---|---|
주식 거래. 주식의 정의에 대하여 알아보자 (0) | 2023.02.17 |
빈부격차. 경제적 불평등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2.15 |
탄소세란? 탄소세에 대하여 알아보자 (0) | 2023.02.15 |
산업혁명. 산업혁명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2.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