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엔 조선 말기의 화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조선 말기
조선 말기, 화폐가 발달하여 악화 당백전을 남발함을 시작으로 조선왕조의 근대 이전의 색채를 벗어나지 못한 명목화폐제도의 혼란이 시작된 대원군의 집권기가 시작됩니다. 대원군은 조선왕조에게 당면된 대내외적인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비상적 재원 확보책으로 악화 당백전을 주조 및 유통시켰는데, 이는 실질가치가 이전부터 지금까지 1문전 동전을 5, 6배에 불과한 것에 액면가치만 100배로 고액화한 파격적인 조치였습니다.
6개월 동안 악화 당백전을 1,600만 냥을 남발하여 1문전 상평통보와 함께 사용하여 1670년대 말 이후 상당히 안정적으로 확대되고 시행된 동전을 법화로써 이용하여 단일 번화 유통체계인 전근대적인 명목화폐제도는 심각한 혼란을 불렀습니다. 이에 당백전의 남발로 인해 물가가 갑자기 큰 폭으로 올라서 심각한 사회 및 경제적인 폐단과 모순을 일으켰고, 직접적으로 전근대적 명목화폐제도가 혼란스러워졌습니다.
이러한 폐단과 모습이 심해지자 2년 만에 당백전의 통용을 금지했습니다. 이후 재정적인 손실을 복구하기 위해 중국 동전을 수입하여 사용하였습니다. 이러한 남발로 인해 명목화폐제도의 혼란스러운 현상은 봉건국가 말기에 일반적인 현상이었습니다. 조선 왕조는 이러한 상황을 수습하지 못한 채 일본 및 서양의 여러 나라들과 통상관계를 갖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근대화폐를 사용하고 있는 다른 나라들과 거래하는 과정에서 전근대적 명목화폐의 모순은 더욱 심해졌는데, 이는 품질과 체재가 통일되지 못하고, 운반이 힘들고, 국내 화폐는 가치변동이 심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조선왕조는 전통화폐를 계속하여 주조하고 유통시키면서, 품질과 체재를 통일하고 운반을 편리하게 하며, 안전화된 근대 화폐제도를 도입하고 실시하여 다른 나라들과의 거래에서 일어날 수 있는 문제와 경제적 손실을 해소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1882년, 근대 금 및 은 본위 화폐제도 수용은 시대적인 요구에 따라 은화 및 금화의 통용을 결정하고 은표를 주조하고 유통하였습니다. 1883년에는 급증하는 재정적 수요를 감당하기 위해 악화 당오전을 만들어 유통시키면서 금 및 은본위화폐제도를 도입하고 실행하기 위해 전환국을 만들어 독일에서 근대 조폐기술을 들여와 1888년에 역사 최초로 15종류의 금, 은, 동전을 주조하여 유통하였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은 시험단계에 일단락되었으며, 그로부터 3년 후, 1891년에 신식화폐조례를 발표하고 인천전환국에서는 5종류의 근대화폐를 만들었습니다. 1894년에는 갑오개혁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일본의 화폐제도를 본떠서 신식화폐를 선포하고 시행하여 역사상 최초로 근대 은본위화폐제도가 실시되었습니다. 신식화폐가 대량으로 만들어지기까지는 국내화폐와 동일한 외국화폐를 함께 사용하는 것을 허가한다고 규정하였으며, 이러한 규정이 시행된 이유나 내용을 봤을 때 이것이 가지는 한계도 많았습니다. 이러한 규정을 실시한 것은 정부 화폐의 독립성을 침해하는 중요한 원인이 되었습니다. 또한, 이러한 규정이 공포되고 시행된 이후, 본위은화는 극히 소량만 만들어지고, 보조화폐인 백화동화는 불법적 또는 합법적으로 남발되어 화폐의 가치고 하락하고 물가는 급변하게 올라 백동화 인플레이션이 일어났습니다. 거기다 국내정세가 혼란스럽고 우리나라를 둘러싸고 일본과 러시아 사이에서 세력의 균형에 변화가 생기자, 이러한 사실들이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원인을 작용하여 1901년에는 신식화폐를 중단하게 되었습니다. 이후 1901년 2월, 광무 5년 화폐조례를 선포하였습니다. 이 화폐조례는 화폐의 제조 및 발행권은 전부 정부에게 있다고 규정하였습니다. 또한, 20 환금화와 7종의 화폐를 만들고 유통할 것을 규정하였습니다. 광무 5년, 화폐조례는 은본위제를 금본위제로 바뀌는 것으로, 국내정치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러시아 세력을 바탕으로 하는 친로배일정권 또는 친로정권의 주도아래에 계획되었습니다. 1902년, 일본은 화폐조례의 선포에 대한 반발로 일본은행권의 국내통용을 시도하였는데, 이는 국가의 화폐권을 침범하는 불법적인 행동이었습니다.
'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태그플레이션에 대하여 알아보자! (0) | 2023.02.15 |
---|---|
금융이란 무엇일까?금융의 정의를 알아보자 (0) | 2023.02.14 |
화폐. 돈이란? 돈의 역사를 알아보자-3 (0) | 2023.02.14 |
화폐. 돈이란? 돈의 역사를 알아보자-2 (0) | 2023.02.14 |
화폐. 돈이란? 돈의 역사를 알아보자-1 (0) | 2023.02.14 |
댓글